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사회2부 염정원 기자 나왔습니다. <br><br>Q1.염 기자, 뭔가 경보 문자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. 따져봅시다. 뭐가 문제인지요. <br><br>네 일단 오늘 시간대별 상황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. <br><br>오늘 오전 6시 30분 행정안전부 중앙통제소에서 "인천 옹진군 백령면, 대청면에 실제 경계경보를 발령. 경보 미수신 지역은 <br>자체적으로 실제 경계 경보를 발령."이라는 지령방송을 전국 17개 시도에 발신했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이 내용을 전달받은 서울시는 6시 32분, 자체 경계 경보를 발령했고, 9분 뒤인 6시 41분, 위급재난문자로 자체 경계 경보를 시민들에 알리고 대피령을 내렸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7시 3분 행안부에서는 서울시 경계 경보 발령은 오발령이라고 문자를 발송했고 이후 7시 25분, 서울시는 경계 경보 해제 <br>문자를 보내며 상황은 일단락 됐습니다. <br><br>Q2. 그런데 행안부 17개 시도에게 다 알렸는데 왜 유독 서울시만 경보를 울린 건가요?<br> <br>행안부가 보낸 지령방송 문구에 대한 서울시의 해석이 다른 지자체와 달랐는데요. <br><br>"경보 미수신 지역은 자체적으로 실제 경계 경보를 발령" 이 부분에 대해 행안부 측은 백령도 내 미수신 지역을 뜻하는 것이라고 밝혔지만, 서울시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이라고 해석해 경계 경보 발령을 내린 겁니다.<br><br>Q3. 서울시 자체 판단이 맞는지 행안부에 확인을 했겠죠? 그런데 서울시는 긴박한 상황 속에서 행안부가 전화를 안 받았다고 하던데?<br> <br>서울시도 자체 판단 전에 행안부의 지령방송을 받고 '미수신 지역' 문구 해석을 위해 행안부 소속인 중앙민방위정보통제센터에 <br>문의를 하려고 연락 했다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통화가 되지 않았고 위급한 상황, 시민 안전 등을 고려해 6시 32분, 자체 경보발령을 내렸다는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행안부 측에서는 서울시가 전화를 했던 기록도 남아 있지 않다고 밝히고 있습니다. <br><br>Q4. 이런 생각도 드는데요. 만약에 실제 북한 미사일이 날아온다. 그러면 바로 알려줘야 피하는데, 서울시 같은 경우 인지하고 <br>문자 보내기 까지 9분이나 걸린 거에요. 무슨 소용입니까? <br><br>일단 서울시가 경계경보를 내린 6시 32분에 사이렌이 울리고 방송이 되긴 했습니다. <br> <br>문자 발송이 경계경보 이후 9분 뒤에 이뤄진 건데요. <br> <br>문자발송 문구를 입력하고 승인 등을 받는 절차가 필요했고, 또 자체 경보발령을 내린 뒤에도, 행안부와 다른 기관 등에 추가로 확인 하려는 과정도 있어 발령과 실제 문자발송 사이에 지연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결과적으로 서울시와 행안부의 비상연락망이 제대로 가동이 안 됐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백령도 주민들에게는 6시 30분 바로 경계 경보발령 문자가 보내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<br>Q5. 시민들 가장 불안했던 건 경보 문자 내용을 봐도 이게 왜 피하라는건지, 어디로 가라는 건지 알 수가 없어요. <br><br>네 오늘 서울시가 보낸 문자를 보면 경계경보 발령과 대피하라는 문구만 있습니다. <br> <br>왜 경계경보가 발령됐고, 어디로 대피하라는 구체적 안내가 없어 시민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는데요. <br> <br>이러다 보니 정확한 정보를 얻으려고 포털사이트를 검색하거나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. <br><br>일본당국이 오늘 아침 발송한 긴급문자내와 비교를 하면 "북한 미사일 발사, 건물안이나 지하로 대피" 라는 정확한 이유와 장소까지 명시해 놨고 글자 수도 많지 않습니다. <br><br>Q6. 이렇게 문제가 있으면 고쳐야죠. 뭘 고쳐야 하나요?<br> <br>오늘 서울시의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는 속도와 형식 면에서 모두 실패했다는 점에서 비판 받고 있는데요. <br> <br>행안부에서 지자체에게 보내는 경보 문구 또 국민들에게 보내는 경보문자에 기본정보가 명확하게 담기고 대응요령도 상황에 따라 있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경보문자 발송 매뉴얼도 해석의 차이가 없도록 다시 한번 점검해야 겠습니다. <br> <br>오발령을 놓고 정치권에서도 뜨거운 설전이 있었는데요. <br><br>이재명 대표는 "무책임하고 무능한 일이 벌어졌다"고 했고 박광온 원내대표도 "위기관리시스템이 아닌 위기증폭시스템이 돼버렸다"고 날선 공세를 펼쳤습니다. <br><br>반면, 국민의힘은 "재난과 관련해서는 지나친 것이 모자란 것보다 훨씬 낫다"며 오발령 논란을 키우지 않으려는 모습이었습니다. <br><br>염정원 기자였습니다.